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빅데이터 공모전
- 로또 분석
- 로또 통계
- 로또 빅데이터
- 데이터 공모전
- 코로나 분석
- 삼프로
- 스펙
- 포켓몬고 타입 별 분석
- 코로나 통계
- 2020-03-21 로또
- 포켓몬고 배틀 공략
- 긍정적인 마음가짐
- 포켓몬고 데이터 분석
- 코로나 데이터 분석
- 로또 중앙값
- 동행복권 분석
- 로또 균등분포
- 코로나 심각
- 코로나 종식율
- 공모전
- 코로나 통계 분석
- 코로나 데이터
- 포켓몬고 데이터 분석 활용
- 로또 통계 분석
- 대한민국 코로나 통계 분석
- 포켓몬고 배틀 데이터 분석
- 코로나 심각 분석
- 포켓몬고 그림자 포켓몬 사용법
- 코로나 예측
- Today
- Total
통계 & 데이터 그리고 이야기
포켓몬고 레지스틸 사용법 & 대처법(feat. 노말기술 포기하고 스페셜 기술에 몰빵, 드래곤볼 원기옥, 1차징 기술 활용법) 본문
포켓몬고 레지스틸 사용법 & 대처법(feat. 노말기술 포기하고 스페셜 기술에 몰빵, 드래곤볼 원기옥, 1차징 기술 활용법)
NoMadikia 2022. 8. 28. 19:11
포켓몬고 등 포켓몬 배틀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알아야 할 점은
한 가지 포켓몬으로도 다양한 전략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포켓몬을 배틀에 활용할 수 있는 이유는
포켓몬이 다양한 기술(노말 기술, 스페셜 기술)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레지스틸을 이용해서 그 다양한 전략 중 하나를 소개해보려고 한다
노말 기술을 포기하고 스페셜 기술에 몰빵한 포켓몬들(1차징 기술만 보유)

본 포스팅의 주제인 레지스틸이 대표적인 스페셜 기술 몰빵 포켓몬인데
노말기술이 3가지나 있음에도(메탈크로우, 바위깨기, 록온)
록온을 사용해서 배틀에 임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록온이 다른 기술과 차별적으로 가지는 특징이 있다면
(1) 다른 포켓몬보다 빠른 1차징 기술을 사용가능
(2) 노말 공격력이 없다

록온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공격속도를 의미하는 경직시간(초)이 평균(테이블 위 파란색)의 절반 값이 안되는 0.5로 매우 빠른 시간이지만
위력이 1로 평균 대비 거의 없는 수준에 다름없는 수준임을 확인 할 수 있다
이를 발전된 데이터인 DPT 및 Eptank(EPT) 데이터로 확인해봐도
DPT(공격 당 데미지)는 다른 노말공격들(메탈크로우, 바위깨기)에 비해 여전히 매우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위 데이터에서 록온의 장점을 보여주는 데이터는 EPT라고 할 수 있는데( EPT = Eptank / 경직프레임)
경직프레임이 한 번 공격하는데 걸리는 시간 데이터라고 봤을 때
동일 시간 대비 채워지는 에너지량이 록온을 사용했을 때 다른 기술들보다 약 2배 정도 빠르다고 볼 수 있다)

흡사, 레지스틸의 배틀방식은 드래곤볼의 손오공(카카로트)이 기본 전투능력 다 포기하고 시작하자마자
프리저(손오공의 나메크성 편 배틀 상대)에게 흠씬 두들겨 맞으며 원기옥에 몰빵하는 배틀 방식이랄까..
원기옥은 프리저를 한 방에 날려버리지는 못했지만
적어도 행성의 지형도를 뒤바꿔 버릴 정도의 위력을 가졌으니
레지스틸의 1차징 기술이 적중했을 때는 이정도의 파괴력이 있음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포켓몬고 배틀에서 원기옥만큼 레지스틸의 1차징 기술들이 위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 데이터로 살펴보자

각 기술의 필요 에너지는 평균 대비 다소 높은 편이지만
위력은 전체 스페셜 기술 평균인 77.8의 두 배에 달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질적으로 의미는 없을 수 있지만
데이터 활용의 재미를 위해 이전 포스팅에서 언급했던 3차징 기술 + 빠른 공격이 매력인 창파나이트 데이터를 같이 가져와보면
2022.01.26 - [포켓몬고] - 포켓몬고 창파나이트 사용법(feat. 빠른 노말 공속 + 3차징 스페셜 공격의 위력, 격투 포켓몬으로 에스퍼 포켓몬 잡는법)
포켓몬고 창파나이트 사용법(feat. 빠른 노말 공속 + 3차징 스페셜 공격의 위력, 격투 포켓몬으로
2022.01.04 - [포켓몬고] - 포켓몬고 슬리퍼 사용법(Feat. 에스퍼 포켓몬 사용법) 포켓몬고 슬리퍼 사용법(Feat. 에스퍼 포켓몬 사용법) 필자는 배틀을 할 때 에스퍼 포켓몬을 반드시 넣는 편이다. 체감
datacenter-nmworld.tistory.com

위력과 EPT 데이터가 인상적인데 위력이 창파나이트가 가진 3차징 기술들(리프블레이드, 깜짝베기)에 비해서
2배에서 최대 3배의 높은 위력 대비 한 번 사용을 위한 필요 에너지는 그 반대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두 상반된 유형을 가진 데이터는 포켓몬을 배틀에 임하는데 있어 두 가지 이상의 유형이 있음을 알려주는 동시에
창파나이트의 데이터에서 볼 수 있듯이 한 가지 포켓몬으로 다른 방식의 전략을 구성할수도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2022.01.29 - [포켓몬고] - 포켓몬고 hp, 공격, 방어, 내구 스탯을 활용한 분류법(feat, 공격 성향, 방어 성향, 공격 + 방어 성향)
포켓몬고 hp, 공격, 방어, 내구 스탯을 활용한 분류법(feat, 공격 성향, 방어 성향, 공격 + 방어 성향
* 추가로 노말 기술, 스페셜 기술 관련 수치(DPT, DPE, EPT, 경직 프레임)들을 활용한 분류를 아래에 업데이트 해놨으니 관심이 있다면 참고바란다 필자는 포켓몬고 배틀을 즐기며 경험하고 데이터
datacenter-nmworld.tistory.com
1차징 기술 보유 포켓몬 활용법
1차징 기술을 배틀에서 활용하기 위한 유형으로는 위에서 설명했듯이 두가지가 존재한다
(1) 배틀의 두번째, 세번째 순서에 활용해 상대방의 쉴드가 없는 것을 감안한 1차징 공격 활용(예 : 창파나이트)
(2) 강철 유형의 강한 방어력(최대 0.625배 피해량)으로 상대의 공격을 견딘 후 1차징 공격(예 : 레지스틸)
위 두가지 유형의 특징은 포켓몬이 원기옥(1차징 기술)의 에너지를 모을 때까지 상대방의 공격을 얼마나 버티나에 따라 결정되는데

(1)번 유형은 자신의 방어력을 희생하는 것이 특징인 브레이브버드를 보유한 포켓몬들인
창파나이트, 파이어로가 대표적이다
2022.01.26 - [포켓몬고] - 포켓몬고 창파나이트 사용법(feat. 빠른 노말 공속 + 3차징 스페셜 공격의 위력, 격투 포켓몬으로 에스퍼 포켓몬 잡는법)
포켓몬고 창파나이트 사용법(feat. 빠른 노말 공속 + 3차징 스페셜 공격의 위력, 격투 포켓몬으로
2022.01.04 - [포켓몬고] - 포켓몬고 슬리퍼 사용법(Feat. 에스퍼 포켓몬 사용법) 포켓몬고 슬리퍼 사용법(Feat. 에스퍼 포켓몬 사용법) 필자는 배틀을 할 때 에스퍼 포켓몬을 반드시 넣는 편이다. 체감
datacenter-nmworld.tistory.com
2022.07.17 - [포켓몬고] - 포켓몬고 파이어로 사용법(feat. 브레이브버드의 강력함, 무장조 천적, 비행컵 후기)
포켓몬고 파이어로 사용법(feat. 브레이브버드의 강력함, 무장조 천적, 비행컵 후기)
파이어로 사용법의 시작은 비행컵(cp 1500이하 비행 포켓몬만 사용 가능) 후기에서부터 출발해보고자 한다 * 파이어로 사용법으로 바로 넘어가고 싶다면 비행컵 후기를 무시하고 바로 아래로 넘
datacenter-nmworld.tistory.com
필자 포스팅 중 포켓몬고 배틀에서 유명한
2022.03.06 - [포켓몬고] - 포켓몬고 메더(+가라르) 사용법 및 대처법(스페셜 공격 활용 및 너트렁, 무장조 등 방어 성향의 강철 포켓몬 특징)
포켓몬고 메더(+가라르) 사용법 및 대처법(스페셜 공격 활용 및 너트렁, 무장조 등 방어 성향의
포켓몬고에서 자주 등장하며 탑티어를 차지하고 있는 포켓몬 메더 그리고 데이터를 살펴보면 2022.01.16 - [포켓몬고] - 포켓몬고 공격, 방어, HP, 내구력, 멀티 타입, 강점(반감), 약점 엑셀 데이터
datacenter-nmworld.tistory.com
가라르 메더가 위의 (2)번의 대표 유형으로
강철 타입은 가라르 메더 포스팅에서도 언급한 적이 있지만 보통 상대방 공격의 0.625배 피해량을 받는 유형이 가장 많아
노말 곻격을 다른 타입보다 잘 견디기 때문에 1차징 기술을 활용할 수 있는 가능성, 횟수가 다른 타입에 비해 많다고 볼 수 있다
창파나이트, 파이어로, 번치코는 공격 유형에 해당하는 스탯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포켓몬을 꺼내는 순서와 쉴드 보유 여부를 잘 고려해서(배틀 순서) 배틀에 활용해야 할 것이다(아래 배틀 순서 추천 참조)
마지막으로 간단히 레지스틸과 1차징 포켓몬 배틀 활용 순서를 추천하면
배틀 순서 (1) : 상대방의 쉴드를 깎을 수 있는 3차징 기술 보유 포켓몬을 꺼낸다(예 : 독개굴의 진흙폭탄)
2022.01.21 - [포켓몬고] - 포켓몬고 독개굴 사용법(feat. 멀티타입 격투 포켓몬 사용법)
포켓몬고 독개굴 사용법(feat. 멀티타입 격투 포켓몬 사용법)
포켓몬고 배틀을 하면서 강철 포켓몬의 단단함을 경험해 본 적이 있는가? 포켓몬고가 각자 특정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약점이 아니더라도 공격력, hp, 빠른 스페셜 공격(3차징)을 바탕으로 역전
datacenter-nmworld.tistory.com
배틀 순서 (2) : 레지스틸 및 1차징 기술 포켓몬을 넣되 1차징 기술 포켓몬은 3차징, 2차징 등으로 쉴드를 깎는 페인팅 전략을 활용할 수 있는 경우에만 두번째 순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1차징 기술을 활용하려다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유의하자
배틀 순서 (3) : 모아둔 에너지로 1차징 기술을 활용할 차례로 상대방의 쉴드가 모두 깎여 있다는 전제하에 타입 상성에서 불리하지 않다면 게임을 멋지게 마무리 지을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