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리 메뉴

통계 & 데이터 그리고 이야기

포켓몬고 독개굴 사용법(feat. 멀티타입 격투 포켓몬 사용법) 본문

포켓몬고

포켓몬고 독개굴 사용법(feat. 멀티타입 격투 포켓몬 사용법)

NoMadikia 2022. 1. 21. 23:59
728x90
반응형
SMALL


포켓몬고 배틀을 하면서 강철 포켓몬의 단단함을 경험해 본 적이 있는가?

포켓몬고가 각자 특정 속성을 가지고 있으며 약점이 아니더라도 공격력, hp, 빠른 스페셜 공격(3차징)을 바탕으로 역전을 노릴 수 있는 경우가 있지만
강철을 포함한 멀티타입(두 가지 타입 보유)인 가라르 메더 등 상대하기 매우 까다로운 포켓몬을 만나는 경우엔 대략 난감이다.

무려 11개의 속성에 강점을 가지고 있는 강철 포켓몬.. 심지어 강철 + 다른 타입과 조화를 이루면 상대하기 정말 까다로울 때가 있다.



따라서 배틀에서도 트레이너들에게 많이 선택되는 몰드류, 가라르 메더 등을 상대하기 위해서 필수적으로 카운터 포켓몬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승리의 관건이 되겠다.

강철 포켓몬을 대항해 필자가 이번 포스팅에서 추천할 포켓몬은 바로

독개굴

독, 격투 멀티타입의 독개굴은 강철 속성에 강하다

독개굴이 강철포켓몬의 카운터 포켓몬으로 추천되는 이유는
1. 독개굴은 야생에서 삐딱구리로 쉽게 양성할 수 있는 포켓몬 중 하나이다.
2. 멀티타입(두 가지 타입)외의 좋은 2차징 기술들을 보유하고 있다.

먼저 다른 멀티타입의 격투 포켓몬들과 비교해보면

포켓몬고 배틀에서 중요한 HP를 CP로 나눠 표준화시켜 비교해보니 최대 CP가 1500이상인 포켓몬들 중 꽤 쓸만한 위치에 있다



따라서 삐딱구리(cp500리그에서 활용)와 함께 cp 1500, cp 2500까지의 리그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 포켓몬이라는 분석이 위의 데이터로부터 나온다.
그리고 독타입의 경우 다른 타입에 비해 약점이 그리 많은 편이 아니라 역카운터를 당할 일도 많지 않다.
따라서 강철 포켓몬을 카운터로 잡아내고 빠른 2차징, 3차징 기술을 활용해 상대방의 쉴드를 깎는 전략으로 나가는 것을 추천한다.

추가적으로 독개굴의 2차징, 3차징 기술들의 약점을 아래의 표에 정리해보았다.

폭탄에 폭발에.. 매우 강해보이는 이름의 기술들이 포진해있다



실제 오물폭탄은 대표적 약점인 페어리에게 강할 뿐만 아니라 이름답게 폭발적인 화력으로 기타 포켓몬들의 체력을 깎아놓는 무서운 기술이다.
이와함께 진흙폭탄도 사용해보면 강철과 같이 단단한 속성이 아니라면 꽤 강한 성능을 보여준다. 깨뜨리다는 3차징인만큼 해방까지 활용할 경우 도움될 수 있는 기술이다.

마지막으로 독개굴을 배틀에서 어떤 순서에 배치했을 때 승률이 높을까 필자가 추천해보자면
1. 상대방이 강철 포켓몬을 꺼내도록 만들 수 있는 포켓몬을 생각해보자(예 : 너트렁를 꺼내게 만들고 싶으면 물포켓몬)
2. 독개굴(노말공격 : 카운터)을 활용하여 최소한 상대방의 쉳드를 깎아보자
3. 독개굴은 비행 속성에 약하다(따라서 무장조에게는 강한 모습을 보여주기 힘들다.) 이를 상쇄할 수 있는 전기 포켓몬 혹은 강한 1차징, 2차징 기술을 가진 포켓몬을 사용한다.

독개굴이 나쁘지 않은 hp를 바탕으로 배틀에서 많이 활용되고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실제 사용해보면 섀도볼에 한 방에 나가떨어지는 등 체감상 체력이 매우 약하다는 느낌을 받을 때가 있을 것이다.(방어와 내구가 낮아서인가?)
따라서 스페셜 기술과 상성을 제대로 이해한 후에 독개굴을 이용해야 배틀을 승리로 이끌 수 있을 것이다.

포켓몬에 대한 상세 데이터를 보고 싶다면?
2022.01.16 - [포켓몬고] - 포켓몬고 공격, 방어, HP, 내구력, 멀티 타입, 강점(반감), 약점 엑셀 데이터 다운로드(poketmongo excel raw data for analysis)

포켓몬고 공격, 방어, HP, 내구력, 멀티 타입, 강점(반감), 약점 엑셀 데이터 다운로드(poketmongo excel

포켓몬고는 스마트폰의 장점을 활용한 다양한 즐길거리가 있다 1. AR 시스템을 활용한 포켓몬 잡기, 포켓몬과의 사진촬영, 포켓몬과 놀기(산책 등) 2. 레이드(체육관)에 배치한 포켓몬들과의 전투

datacenter-nmworld.tistory.com

728x90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