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코로나 통계
- 코로나 심각
- 삼프로
- 2020-03-21 로또
- 코로나 종식율
- 포켓몬고 배틀 데이터 분석
- 포켓몬고 그림자 포켓몬 사용법
- 포켓몬고 데이터 분석 활용
- 포켓몬고 타입 별 분석
- 긍정적인 마음가짐
- 코로나 데이터 분석
- 코로나 통계 분석
- 로또 중앙값
- 데이터 공모전
- 코로나 데이터
- 코로나 예측
- 빅데이터 공모전
- 대한민국 코로나 통계 분석
- 코로나 분석
- 로또 빅데이터
- 포켓몬고 배틀 공략
- 공모전
- 포켓몬고 데이터 분석
- 스펙
- 동행복권 분석
- 로또 균등분포
- 로또 분석
- 코로나 심각 분석
- 로또 통계
- 로또 통계 분석
- Today
- Total
통계 & 데이터 그리고 이야기
공인인증서 폐지 그리고 네이버 인증서(feat. 한국부동산원 청약Home, 청약홈) 본문
내년부터 공인인증서가 폐지된다.
www.hani.co.kr/arti/economy/economy_general/972358.html
공인인증서 10일부터 폐지된다…앞으로 민간 전자서명 시대
기존 공인인증서도 유효기간까지 이용 가능
www.hani.co.kr
공인인증서와 함께 설치해야했던 수많은 설치파일들에 더이상 찝찝해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 좋은 소식이다.
공인인증서는 금융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 거쳐야하는 필수 관문이면서 시간적으로 매우 소모적인 단계였다. 이러한 인증을 생체인식, 개인번호 등으로 대체하면서 간소화시키는 서비스가 금융계과 IT 기업들을 통해 많이 개발되었다.
그 중 네이버 인증서가 있다. 인증서는 공인인증서를 대체하여 웹 혹은 앱 상에서 공인인증서를 대체하여 개인을 식별하고 인증할 수 있는 전자 인증서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다.
네이버 인증서는 다양한 부문에서 개인을 식별하는데 필요한 곳이면 다음과 같이 따로 공인인증서를 준비하지 않고 한 번에 인증 과정을 통과하도록 필요 업무를 간소화할 수 있는 플랫폼 역할을 수행할 것이다.
한국부동산원에서 제공하고 있는 청약Home 서비스이다. 웹사이트와 어플리케이션의 UI(사이트 이미지)가 매우 유사함을 느낄 수 있을 것이다.
www.applyhome.co.kr/co/coa/selectMainView.do
청약홈
청약홈기능안내 행정정보 자동조회 청약신청의 필수적인 절차가 아니며, 청약신청이 일시에 과도하게 집중되는 경우 일부 지자체 서버의 응답이 지체되어 청약신청이 지체되거나 오류화면이
www.applyhome.co.kr
청약 절차의 간소화는 청약이 절실하지만 청약 방법과 절차에 어려움을 느끼거나 바쁜 생활 속에 필요한 절차를 간소화 시키는 드러나지 않겠지만 매우 유용한 도구가 될 것으로 생각된다.
추가적으로
공인인증서는 폐지되지만 기존에 발급받은 공인인증서는 유효기간까지 유지시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경우가 많다고 하니 기존의 방법이 익숙한 이용자들은 공인인증서를 이용해도 좋을 듯 하다.
![]() |
![]() |
혹시 지금도 계좌번호를 외우고 있는가?
카카오페이는 친구들의 계좌번호 혹은 본인의 계좌번호를 입력하지 않고 쉽게 돈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해주었으며
다양한 금융기관들의 협업하에 시행된 오픈 뱅킹 서비스를 통해 개인의 자산을 한 곳에 모아서 볼 수 있게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의 핵심에는 국내 빅테크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카카오가 큰 축을 이루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렇게 한 곳에 모아서 관리할 수 있는 개인정보들은 마이데이터와 함께하여 개인이 수행한 활동으로 축적된 데이터를 스스로 활용할 수 있게 하고 이를 기업들이 제공하기도 하고 새로운 서비스를 위해 활용하기도 하면서 지금과는 또다른 세상이 열릴 것으로 생각된다.
그리고 이러한 변화는 다른 기업들의 성장 동기부여를 자극시키면서 오픈 뱅킹 및 마이데이터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동반성장의 결과로 이어질 것 같아 기대가 되기도 한다.
이러한 혁신의 축인 카카오 또한 그 경쟁자에 의해 지속적인 성장과 혁신을 이루어야 할 것으로 보이며 가장 위협적인 경쟁자는 국내 최고의 IT 기업이라고 할 수 있는 네이버라고 할 수 있다.
네이버는 검색포털을 기반으로 한 앱 서비스에서
카카오는 채팅 앱인 카카오톡을 연계한 것에서 차이가 있지만
사업 진출 분야 측면에서는 분야를 가리지 않고 미국, IT 기업이 하고있는 것 혹은 할 수 있는 것을 모조리 다 하고 경쟁에 뛰어들고 있는 느낌이 든다.
'추천 > 정보 제공'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운전면허증 22년 7월 전국 발급 가능(feat. 카드지갑, 스마트폰 카드케이스 종말의 시대, 스마트폰 케이스 시장의 미래) (0) | 2022.01.30 |
---|---|
Chrome 활용해 창 화면이 아닌 페이지 전체화면 캡처하기(feat. Awesome Screenshot & Screenrecorder) (0) | 2022.01.30 |
동해선 광역전철 탑승 체험 후기(feat. 서부산 사상에서 울산 태화강역 이동 후기) (0) | 2022.01.30 |
대학교 졸업생도 Microsoft office 365(엑셀, 워드, 파워포인트) 쓸 수 있다 (0) | 2022.01.18 |
해외 주식 거래 M-able로 환전없이 거래(feat. M-able의 글로벌 원마켓 서비스) (0) | 2021.01.16 |